해양수산부는 오는 17일 국내 최초로 자동 안벽크레인을 갖춘 부두인 부산항 신항 6부두(이하 6부두)를 전면 개장한다고 16일 밝혔다.
해수부는 늘어나는 항만 수요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1997년 부산항 신항을 신항만으로 지정한 이래 2012년까지 모두 5개의 부두를 부산항 신항에 새로 건립해왔다.
2010년대 초반부터 진행된 선박 대형화와 자동화 항만 확산에 맞춰 2012년 부산항 신항 2-4단계에 자동 안벽크레인 8기를 갖춘 안벽 길이 1050m의 6부두를 건립하기로 했고, 수익형 민자사업(BTO) 형태로 사업을 추진했다.
해수부는 2016년 2월 17일 공사에 본격 착수해 지난달 16일 공사를 마쳤고, 준공 검사를 거쳐 이날 6부두를 본격 개장한다. 6부두는 건설사업 시행자인 부산컨테이너터미널 주식회사(BCT)가 오는 2055년 11월까지 운영한다.

6부두는 17~18m 수준의 수심을 확보하고 있어 현재 존재하는 컨테이너선박들 중 최대 크기인 HMM 알헤라시스호를 비롯한 2만 4000TEU급 컨테이너선들이 안정적으로 접안할 수 있다.
자동 안벽크레인을 보유하고 있어 원격 조종으로 컨테이너를 선박에서 부두로, 부두에서 선박으로 내리고 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역과정의 효율성과 항만하역노동자들의 안전까지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됐다.
6부두가 신규 개장됨에 따라 부산항 신항은 현재 22개 선석에서 25개 선석을 보유하게 된다. 또 매년 195만 TEU 이상의 추가물동량을 처리(연간 1749만TEU)할 수 있다.
특히 전세계적인 항만물동량 증가로 컨테이너를 보관하는 장치장이 부족한 상황에서 5만 4000개의 컨테이너를 보관할 수 있는 장치장도 추가 확보할 수 있다.
해수부는 앞으로 부산항을 비롯한 우리 항만들이 세계 해상물류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내년까지 부산항 신항 2-5단계, 2026년까지 2-6단계 공사를 마무리 짓고 부산항 진해신항을 추가로 건립할 계획이다.
김창균 해수부 항만국장은 “6부두 개장에 따라 부산항 신항의 물류처리 능력과 자동화 수준이 한층 더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부산항의 경쟁력도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개장할 부산항 신항 2-5단계, 2-6단계 및 부산항 진해신항을 통해 부산항 신항을 동북아시아 물류 중심을 넘어 스마트 물류 거점 허브항만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 해양수산부 항만국 항만투자협력과(044-200-5963)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및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기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